안녕하세요.
냄꿔이 입니다.
날씨가 너무 더워지고
식중독 위험도 많아지고 있어
곰팡이 독소를 가지고 있는 식품들이
있어 뉴스 기사를 가지고 왔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여름철 곡류, 두류, 견과류 등에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보관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쌀, 아몬드, 콩 등에 핀
곰팡이는 인체에 유해한 아플라톡신 등
곰파이 독소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곰팡이 독소는 곡류 등을 고온다습한 환경에
보관, 저장하는 과정에서 일부
곰팡이들이 생하는 자연 독소로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A, 푸모니신, 파튤린 등이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아프라톡신은 곡류, 땅콩
오크라토신 A는 커피, 건조과일
푸모니신은 곡류, 옥수수
파튤린은 과일, 채소류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곰팡이 독소는 일반적인 조리, 가공 과정에서
완전히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미량으로도
간, 신장을 손상할 수 있어
조심해야 됩니다.
곰팡이 독소 피해를 줄이려면
곡류, 견과류, 두류의
올바른 구입, 보관, 섭취 방법을
알아둬야 합니다.
알갱이 겉면 등을 꼼꼼히
살피고
유통이기한을 확인하고
여름철에는
대량으로 구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보관할 때는 습도 60% 이하
온도 10~15℃ 이하에서
최대한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해야 됩니다
옥수수, 땅콩 등은 껍질이 있는
식품은 껍질째 보관해야
곰팡이 독소가 덜 만들어지며,
특히 포장을 개봉하고
남은 견과류는 1회 섭취할
양만큼 나눈 뒤 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밀봉 보관해야 됩니다.
식약처는 일단 곰파이가 핀 식품은
그 부분을 도려내도 곰팡이 독소가
식품에 남아 있을 수 있어서
절대 먹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밥을 지을 때도
씻은 물이 파랗거나 검으면
쌀이 곰파이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어
밥을 지어먹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지금 까지 여름철 곰팡이 독소에 관한
뉴스기사를 옮겨봤습니다.
여름철에 다들 조심히
식품을 섭취해 아프지 않은
여름철을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754776
"소량 먹어도 간·신장 손상"…여름철 '곰팡이 독소' 주의 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여름철 곡류‧두류‧견과류 등에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보관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쌀‧아몬드‧콩 등에 핀 곰팡이는 인체에 유해한 아
n.news.naver.com
'정보공유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알바이오틱스 무엇인가요? (0) | 2023.05.21 |
---|---|
리포좀비타민C 무엇인가요? (0) | 2023.05.14 |
심근염이란? (화이자 모더나 부작용) (0) | 2021.09.21 |
추석 거리두기 완화 내용(거리두기 연장) (0) | 2021.09.06 |
부스터 샷? (3차 접종, 추가접종) (0) | 2021.09.02 |